[자바 강좌] 네번째, 변수에대해 알아봅시다.(변수, 자료형, 상수)
오늘은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변수..가 뭘까요?
전공자나 프로그래밍을 조금이라도 배우신분들에게 '변수가 뭐야?' 하고 물으면
대부분 '변하는 수'라고 대답합니다
맞습니다.
이건 변수의 여러 특징중 하나를 나타내는 말이구요
정확한 변수의 정의는
'값이 정해져있지 않은 수' 입니다.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필요할때 값을 정해서 쓸 수 있죠
그래서 값이 변하는 거구요
변수에는 자료형이라는 애가 항상 같이 다닙니다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변수를 정하는데
이 값(자료)의 형태를 같이 지정하는것이죠
이게 왜 필요하나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10 이라고 써 놓으면
사람은 저게 '숫자 10 이구나' 하고 알지만
컴퓨터는 이게 숫자10인지 문자10인지 알지 못하기도 하고 오차가 발생할 여지가 있죠
그래서 값을 정할때 이게 문자인지 숫자인지
숫자라면 정수인지 실수인지 그 형태를 정해버리는거죠
값(자료)에 대한 형태를 정해버리기때문에 자료형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자료형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개가 있습니다
정수 자료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 자료형 : float, double
문자 표현 : char
참, 거짓 포현 : boolean
데이터형이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데이터와 자료는 애초에 의미가 같기때문에 같은 뜻이라고 봐요
자바에서는 변수를 선언할때 이렇게 합니다
int a = 0
자료형 변수명 = 초기화
초기화는 '0'이 아닌 다른 숫자가 들어가도됩니다
선언한 변수가 '20'으로 자주 쓰인다면
'20'으로 초기화해두면
기본값이 20으로 초기화되있어서 편하죠
상수는 항상 값이 일정한 수입니다
이름이 없는 고유값이기때문에
메모리에 접근이 불가능해요
오늘은 자바에서 쓰여지는 변수, 자료형, 상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문의사항이나 틀린곳이 있다면 댓글로 주세요
끝!!